본문 바로가기

자기계발8

다재다능한 힘이 필요한 시대 - 폴리매스(POLYMATH) 경험은 우리의 정체성을 규정한다. 그리고 새롭게 경험을 할 수록 알게 된 사상과 개념 혹은 사실이 이전에 습득한 관점이나 본질을 바꿔놓을 때 우리의 인식 속에서 나비효과가 일어난다. 저자는 지난 세기를 살았던, 그리고 동시대를 살고 있는 수많은 폴리매스들을 소개한다. '폴리'란 '많은''복합'을 의미한다. 다능하고 박식한 폴리매스polymath란 말 그대로 서로 연관없어 보이는 분야에서 적어도 세가지 일을 출중하게 하고 서로 연관이 없어 보이는 다양한 영역에서 재능을 발휘하는 사람들을 일컫는다. 그들은 다차원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으로 전인적 차원에서 최적의 능력을 발휘하며 자아를 실현한다. 특정분야의 전문가로 평생 살기를 거부하고 서로 무관해 보이는 여러분야에서 재능을 발휘하는 경향을 보인다. ​ 인간은.. 2020. 12. 31.
사소한 행동의 힘 - 작은 것의 힘(The power of small) 우리는 살면서 안전지대에 속하고 싶어하고 편안함을 추구한다. 또한, 심리적 경직성을 초래하는 정신상태에서 벗어나려고 한다. 날 불편하게 하는 정신상태란 것은 무엇인가? 현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할 때, 생각과 감정의 함정에 빠져있을 때, 정말 중요한 일을 그만두었을 때 등이다. 이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현실을 자각하고, 원치 않은 경험까지 받아들이는 개방적인 태도가 필요하며 중요한 일에 참여하려는 태도가 필요하다. ​ 우리는 끊임없는 스트레스에 시달리게 되어있다. 우리의 행위는 지향행위와 회피행위로 나눌 수 있는데 지향행위는 자신의 가치관에 도움이 되는 행동이고 회피행위는 불편한 경험을 피하기 위해 가치관에서 멀어지게 하는 행동이다. 하지만 무조건 전진하는 행위도 무조건 미루는 행위만큼 독이다. 우리는 그 .. 2020. 10. 30.
집중력을 만들고 싶다면 - 초집중(Indistractable) 원하는 삶을 살려면 '바른'행동만 하면 되는 게 아니라 나를 탈선시키는 '나쁜'행동을 끊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를 탈선시키는 심리적 불편을 발견하고 이를 다스리는 현실적인 방법을 배우는 것은 중요하다. 그리고 진짜로 하고 싶은 일을 하기 위한 시간 확보를 해야 한다. 저자는 생산성을 해치고 행복도를 낮추는 외부 계기가 무엇인지를 낱낱이 밝히면서 우리가 일에 집중하기 위해 필요한 열쇠인 '계약'이 무엇인지 피력하고 있다. 우리가 본짓을 하든 딴짓을 하든 모든 행동은 내. 외부 계기에 의해 발생한다. 이 행동은 우리의 더 큰 의도와 일치할 수 있고(본짓) 불일치할 수도 있다(딴짓). 본 짓은 목표를 달성하게 하고 딴짓은 목표에서 멀어지게 한다. 우리가 딴짓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쾌락 때문에? 사실 딴짓을.. 2020. 9. 5.
세상에서 가장 발칙한 성공법칙(Barking up the wrong tree) 성공은 완벽해지는 것이 아니라 내가 무엇을 가장 잘하는지 아는 것이며 주위 상황과 적절하게 조화를 이룬다는 뜻이다. 모범생과 반항아 중 더 성공하는 것은 누구일까. 학교에서 말 잘 듣는 학생들은 좋은 성적을 받는다. 학교 성적표는 성실함과 규칙준수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이고 높은 성적은 전반적으로 두루 잘 하는 아이라는 증거이다. 수석 졸업생들은 지극히 실용주의자들이다. 그러나 사회에서 따라야 할 노선이 불투명해지는 순간 우등생들은 고장이 난다. 성과의 양극단에서 중요한 것은 평균이 아니라, 표준에서 벗어나는 정도인 ‘분산’이다. 학교 교육제도는 한 분야에 열정이 뚜렷하고 그 분야에서 높은 지식과 능력을 갖추기 원하는 학생들에게 맞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이 알맞은 환경만 만나면 훌륭한 장점이 될 수 있다... 2020. 4. 20.